카테고리 없음

뇌우의 특징

정보항해사 2021. 10. 16. 23:54
반응형

일반적으로 뇌우라고 하는 것은 뇌전과 비를 의미하는데, 약한 비가 아니라 강한 비와 바람 그리고 뇌전을 함께 나타나는 기상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대류에 의해 발생하는 뇌우는 대류성 스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류에 의한 이런 종류의 작은 규모의 스톰들은 일상적인 관측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규모가 작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양항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한 형상이기도 한다.

 

뇌우의 특징

뇌우는 25m/s이상의 바람, 강한 강수, 우박, 또는 토네이도 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뇌우는 현저한 일변화를 나타낸다. 대륙 대부분의 장소에서 아침이나 이른시간에 나타나기보다 늦은 오후나 저녁때 잘 발생한다. 대류는 낮에 잘 발생하지만 잠열이 대류의 주 에너지원이 될 때는 좀 더 늦어지기도 한다. 또한 낮은 대류가 잘 일어나지만 상층 공기까지 더워 쭉 올라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층은 차가워지면서 상층 공기는 차가워져 내려가려고 하고 하층의 공기는 아직까지 덥기 때문에 올라가려고 하는 대류가 더욱더 강해져서 강항 강수를 쉽게 만들 수 있다.

 

뇌우의 종류

기단뇌우 : 상대적으로 mT기단인 보통 아열대 고기압에서 발생을 잘한다. 기단 뇌우 세포는 하층 가열과 약한 하층 수렴에 의해 발상하고 이동성이 약하고 습도가 높아 국지적으로 호우를 유발한다. 뇌우의 생애는 보통 1시간으로 짧다.

 

전선뇌우 : 전선면 상에서 나타나는 종관 규모의 강재 상승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기단 뇌우보다 강하다. 뇌우의 생애는 1시간에서 3시간 정도로 나타난다. 이런 뇌우는 띠모양으로 형성되거나 시스템의 난역의 스콜선에서 발생해서 지속적인 영향을 준다. 전선 뇌우는 전선의 종류에 따라 한랭전선 뇌우, 온난전선 뇌우, 정체전선 뇌우로 분류된다.

 

스콜선 뇌우 : 종종 불안정하고 습한 공기가 있는 비활성 한랭전선면 전방으로 한랭공기에 의해 전선과 평행하게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승은 스콜선에서부터 시작하고 바람 시어에 의해 강해진다. 즉 스콜선 전방에서 볼 어드는 기류가 하층에서 수렴을 일으키고, 결국 상승류를 발생시킨다. 

 

건조선 뇌우 : 건조선 뇌우는 상층제트가 없이 발생한다. 두 기단 cT와  mT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건조선 뇌우의 경우, 습도 경도가 큰 지역을 따라 하층 수렴이 있는 경우에 발생을 한다. 드물지만, 건조선에서 강한 뇌우와 다세포 뇌우가 발달하기도 한다. 이중 가장 강한 뇌우는 건조선을 따라 상층 요란이 접근하거나, 해륙붕이나 유 출경 게 선이 중첩될 때 발생한다. 건조선에서의 위험한 뇌우의 발생은 주로 늦은 오후에서 밤에 자주 발생한다.

 

산경 사면 뇌우 : 수평 기류가 산사면을 타고 강제로 상승할 때 발생하는 뇌우이다. 상승하는 공기괴는 대류 불안정이면 뇌우가 발생할 수 있다. 수평 바람장과 함께 적절하게 대류 불안정이 있으면 넓은 범위에서 뇌우가 발달하게 된다. 주로 산경 사면이 풍상 측에서 발생하게 된다.

반응형